주간 계란 시장 동향 리포트

발행일: 2025년 4월 4일 (금) 16:13 KST (2025년 14주차)

대상: 계란 유통 파트너사

Egg Icon

Executive Summary: 금주의 핵심

이번 주는 전주(3월 말) 대비 일부 지역에서 계란 가격이 하락하며 전국 평균가(특란 30구)는 5,450원 수준입니다. 4/1 기준 경기, 충청, 강원은 5,400원대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, 전북(5,550원)은 상대적으로 높고 전남(5,340원)은 다소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. 경상권은 3/26 데이터 기준 5,940원으로, 현재는 타 지역 추세를 고려할 때 조정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공급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나 사료비 상승 압박이 지속되고 있습니다. 해외 동향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전체 거래처 NRR은 98% 수준입니다.

1. 가격 동향 분석

📈 전국 평균 가격 (특란 30구 도매)

금주 평균: 5,450원
전주 대비:
▼ 240원 (-4.2%)
전년 동기 대비:
▲ 230원 (+4.4%)

*(참고: 파트너사 제공 데이터, 축평원, 자체 시장 조사 종합)*

🗺️ 주요 지역별 시세 (특란 30구 도매, 원)

지역 기준일 가격 전주대비
경기 4/1 5,400
충청 4/1 5,400
강원 4/1 5,400
경북(영주) 4/1 5,400
전북 4/1 5,550
전남 4/1 5,340
경남 3/26 5,940 N/A
경북 3/26 5,940 N/A

*(참고: 가격은 제공 데이터를 특란 30구 기준으로 환산. WoW는 전주 대비 방향성 추정)*

지역별 시세 분석:

  • 4/1 기준, 수도권 및 중부권(경기, 충청, 강원)과 경북(영주)이 5,400원 선으로 동조화되는 모습입니다.
  • 호남권 내에서는 전북이 강세, 전남이 약세를 보이며 가격 차이가 발생했습니다.
  • 경상권은 3/26 데이터만 확보되어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, 타 지역의 4/1 가격 하락세를 고려할 때 현재는 5,400원 ~ 5,600원 수준으로 하락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(현장 확인 필요).

전국 평균 가격 추이 (최근 8주)

지역별 가격 비교 (4/1 기준)

SUPPLY: 공급 동향

조류인플루엔자(AI) 동향:

고병원성 AI 확진 없음. 산발적 의심 신고 조사 중. 정부 특별 방역 대책 지속. AI 발생 위험은 상존하므로 상시 경계 필수.

계란 생산량:

전국 일일 생산량 약 4,580만 개 수준으로 전월 대비 소폭 감소.

생산 비용 (사료비):

국제 곡물가 및 환율 영향으로 배합사료 가격 소폭 상승 압력 지속. (정부 사료구매자금 지원 연장 검토 중 - 뉴스 섹션 참조)

계란 수입:

현재 큰 변동 없음. 국내 가격 급등 시 정부 개입 가능성 존재.

공급 요약: 전반적인 공급량은 안정적이나, AI 방역 및 사료비 변동성은 지속적인 관리 포인트입니다.

DEMAND: 수요 동향

소매 채널:

가정 내 소비 꾸준. 물가 부담 속 가성비 식재료로 수요 안정.

외식/가공 채널:

급식 및 외식 경기 회복세로 수요 점진적 증가. 가공용 수요도 안정적.

소비자 트렌드:

동물복지/가치 소비 경향 꾸준. 식물성 대체 계란 등 신규 상품 등장 (뉴스 섹션 참조).

수요 요약: 소매/외식 수요 모두 안정적이며, 장기적으로 가치 소비 및 대체재 트렌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

주요 시장 뉴스 & 해외 동향

미국 중서부, 조류독감 발생으로 계란 가격 상승세 (Reuters, 2025.4.3)

주요

Summary: 미국 아이오와주 양계장 조류독감 발생으로 현지 계란 가격 7% 상승.

영향: 미국 내 계란 수급 불안정 가능성. 국내 수입 계란 가격에 영향 예상.

농식품부, 사료구매자금 지원 연장 검토 (농민신문, 2025.4.2)

Summary: 농가 경영 안정을 위한 사료구매자금 금리 인하(1.5%) 6개월 연장 검토.

영향: 연장 시 농가 사료비 부담 완화 기대. 5월 중 최종 결정 예정.

푸드테크 기업 A사, 식물성 대체 계란 출시 (식품저널, 2025.4.1)

Summary: 국내 스타트업, 식물성 대체 계란 제품 출시. 대형마트 3사 입점 예정.

영향: 비건 시장 확대. 현재는 제한적이나 장기적 시장 영향 모니터링 필요.

브라질 남부 가뭄, 옥수수 작황 부진 (Bloomberg, 2025.4.4)

Summary: 브라질 남부 강수량 부족으로 2차 옥수수 작황 전년비 15% 감소 전망.

영향: 국제 옥수수 가격 상승 → 사료 원가 상승 우려.

핵심 성과 지표 (KPI) Insight (전체)

💰 Net Revenue Retention (NRR): 98%

의미: 기존 거래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8% 수준으로 유지 (가격 변동 감안).

Insight: 전체 고객 관계는 안정적이나, 개별 고객 분석을 통한 이탈 방지 및 성장 전략이 중요합니다.

💰 Customer Lifetime Value (CLV) - 주요 거래처 평균 (추정): 1,500만원/년

의미: 주요 거래처 1곳의 연간 평균 총이익 가치.

Insight: 안정적 공급 능력과 신뢰 기반 파트너십이 CLV 극대화의 핵심입니다.

주요 거래처별 KPI 분석 (예시)

1) A 마트 (대형 리테일 - 수도권 중심)

NRR:

95%

(▼ 5%p vs LY)

거래 빈도:

3.8회/월

(4.2회 → 3.8회)

평균 거래 금액:

유지

큰 변동 없음

NRR 변동 사유 (추정): 전년 대비 판촉 부재, PB/경쟁사 약진 영향.

CLV 관련 주요 지표 추이 및 시사점:

  • 거래 빈도: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주문 횟수 감소세 (4.2회 → 3.8회/월).
  • 평균 거래 금액 (AOV): 큰 변동 없이 유지 상태.
  • 거래 품목: 기존 주력(특란, 대란) 외 기타 품목(예: 구운란, 소포장) 거래 비중 감소 추세.

📈 [A마트 거래빈도/AOV/품목수 추이 (최근 6개월)]

시사점: 거래 빈도와 품목 다양성 감소는 향후 거래 관계 약화 및 CLV 하락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 경쟁 심화 및 판촉 부재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, 관계 강화 및 거래 활성화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

▶️ 대응 방안:

  • 정기 미팅: 월 1회 판매 현황 점검 및 의견 청취
  • 판촉 제안: 주말 특가전 등 매출 증대 방안 협의
  • 신규 상품: 동물복지란, 소포장 제품 등 차별화 상품 제안

2) B 프랜차이즈 (주요 외식 채널 - 전국)

NRR:

103%

(▲ 3%p vs LY)

거래 빈도:

1회/주

안정적 유지

평균 거래 금액:

+15%

(신메뉴 출시 후)

NRR 변동 사유 (추정): 안정적 공급 만족도 증가, 신메뉴 출시로 거래 품목 확대.

CLV 관련 주요 지표 추이 및 시사점:

  • 거래 빈도: 주 1회 주문으로 안정적으로 유지 중.
  • 평균 거래 금액 (AOV): 신메뉴 출시(2월) 이후 12% 증가.
  • 거래 품목: 기존 특란 중심에서 중란 거래 비중 크게 증가.

📈 [B프랜차이즈 거래빈도/AOV/품목별 비중 추이 (최근 6개월)]

시사점: AOV 증가 및 거래 품목 확대는 긍정적인 CLV 흐름을 나타냅니다. 당사의 안정적 공급 능력 및 파트너십 강화 노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, 추가 성장 잠재력이 높습니다.

▶️ 대응 방안:

  • 안정적 공급: 물량 우선 배정으로 안정적 공급 유지
  • 분기 미팅: 신메뉴 개발 계획 파악 및 맞춤형 제품 제안
  • 협력 강화: 시장 정보 공유 등 파트너십 강화

Disclaimer

본 보고서는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, 시장 상황은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. NRR 및 CLV 분석은 내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이며, 최종적인 의사결정은 본 보고서 외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지역별 데이터의 기준일자가 상이한 점 참고 바랍니다.